loading
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들

보툴리즘(Botulism) 주의보 발령 - 보툴리즘 원인, 증상, 인체 영향

by 자유로운 망아지 2023. 4. 18.

썸네일

 

최근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사육 중인 소 90마리가 집단 폐사해서 원인을 파악해 보니 보툴리즘 독소가 원인이서 경기도 북부동물위생사업소가 주의보를 발령하여 보툴리즘 원인, 증상,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보툴리즘(Botulism)이란?

보툴리즘(Botulism)이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이 생성하는 신경독소에 의한 질병으로서 모든 동물에서 전신성 쇠약을 동반하는 운동기관의 마비를 주 증상으로 하며, 사람에게도 치명적인 이완성 마비성 질환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 할 질병입니다.

 

 

보툴리즘(Botulism)의 원인

보툴리즘(Botulism)의 원인은 그람양성의 간균으로 혐기성 아포형성균인 Clostridium botulinum이 원인균이며, 균체가 생산하는 독소형과 단백용해작용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며, 또한 독소의 항원특성에 따라 7개의 항원군(A~G)으로 분류됩니다.

 

독소 항원특성에 따라 분류된 항원군 중에 독소 A형 및 Ca형은 닭등 조류에, Cb형은 말, D형은 소를 포함한 포유류, E형은 말과 노새에서 보툴리즘을 일으키며, 모든 독소는 기니픽, 토끼, 쥐 등에 독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툴리즘(Botulism)의 전염경로

보툴리즘(Botulism)의 전염경로는 오염된 사료 속에 생성된 독소의 섭식에 의해 발생되며, 말은 마초, 귀리 및 옥수수 사일리지, 소는 옥수수사일리지, 부패사료, 남은 음식물 사료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보툴리즘(Botulism)의 감염 증상

보툴리즘(Botulism)의 감염 증상은 근육의 마비로 운동실조가 오고, 때로는 침을 흘리며 장액성(漿液性)의 비루(鼻瘺)를 흘리기도 하며, 폐사율은 30~45%에 이르므로 가축에게는 치명적입니다.

 

말의 경우에는 근육쇠약, 저작곤란, 인두부 부전마비, 허탈, 혼수, 폐사를 일으키고, 소의 경우에는 저작곤란, 전신성 쇠약을 동반하는 운동기관의 마비가 주증상이며, 말기에는 혼수상태로 폐사하게 됩니다.

 

보툴리즘(Botulism)의 치료 및 예방법

보툴리즘(Botulism)에는 Metronidazole 및 penicillin이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동물의 경우 치료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사람의 경우 가장 흔한 3개 혈청형(A.B, E)에 대한 다가항혈청을 정맥 내로 주사하고 필요시는 적합한 환기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합니다.

 

원인체는 토양 속에 장기간 상재함으로 오염된 농장은 계속적으로 창상감염 등의 재발생 가능성이 있음으로 유의하고 남은 음식물을 동물의 사료로 사용할 시는 충분한 열처리와 세균검사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예방의 지름길입니다.

 

보툴리즘(Botulism) 감염이인체에미치는영향

사람에게 보툴리즘(Botulism)은 독소형 A, B, E 및 드물게 F형에 의해서 일어나며, 토양과 물속에 있는 아포형균에 오염된 식품에서 생성된 독소의 섭식을 통한 비감염성 중독이며 간혹 국소적 피부감염과 영아의 구강감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3가지로 구분되며 식품매개형의 경우 독소가 함유된 음신물을 섭취 시 18~24시간에 시각장애, 연하곤란, 언어장애가 나타나고, 영아의 경우 돌발적인 영아사망증후군이 발생될 수 있으며, 증상은 변비, 젖을 빨지 않으며 울고 쇠약해지며, 점차 이완성 마비와 호흡정지로 진행될 수 있으니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인의 경우 국소창상부에 감염되어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창상형이 있으나 거의 자연회복이 됩니다.

 

보툴리즘(Botulism)의인체 감염 시 치료

보툴리즘(Botulism)의인체 감염 시 치료는 가장 흔한 3개 혈청형(A.B.E)에 대한 다가항혈청을 정맥 내로 주사하고 필요시는 적합한 환기요법을 병행하며, 감수성 있는 약제로는 metronidazole 및 penicillin이 알려져 있으나 치료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식품의 위생적인 처리와 저장으로 아포의 발아증식을 막고, 의심되는 식품은 끓여서 섭식하고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과일 및 채소류는 캔저장 시 멸균을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이후 감염병이 여러 종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위에 발생하는 감염병들을 예의 주시하고 인체에 영향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우리 모두 생활 속에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수칙을 준수하여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겠습니다.

 

 

댓글